문예지 등급 >
* 절대적인 것이 아니니 참고만 하세요!
S급(최우수급 문예지)
창작과 비평, 작가세계, 문학동네, 세계의 문학, 문학과 사회
A급(우수급 문예지)
현대문학, 실천문학, 문학사상, 문학수첩, 문예중앙, 현대시, 현대시학, 시인세계, (파란21), (문학판), (문학과 경계), (동서문학)
B급(중상급 문예지)
시와 시학, 시작, 유심, 시와 반시, 시안, 열린시학, 애지, 문학선, 서정시학, 월간문학, 내일을 여는 작가,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시와 사람, 시와 사상, 아시아, 자음과 모음, 문학의 문학
C급(보통급 문예지)
다층, 리토피아, 신생, 모던포엠, 미네르바, 시에, 문학과 창작, 시경, 불교문예, 시현실, 시를 여는 세상, 시문학, 비평과 전망, 시와 세계, 작가들, 시인시각, 너머, 한국문학, 신문예, 정신과 표현, 창작21, 문학마을, 문학마당, 서정과 현실, 서정과 상상, 시평, 서시, 문학아, 심상, 생각과 느낌
D급(하급 문예지)
시인정신, 21세기문학, 주변인, 한맥문학, 시선, 여성비평, 시와 생명, 시세계, 시와 산문, 솟대문학, 시인과 육필, 시와 시인, 시와 창작, 시향, 한국현대시, 현대인, 사람의 문학, 계간문예, 문학저널, 문학바탕, 문학사계
F급(최하급 문예지)
문예마을, 문학예술, 좋은 문학, 백두산 문학, 시사문단, 한국문단, 노벨문학, 신호등, 한국시사, 문예비전, 문예사랑, 문학사랑, 문학시대, 문학예술, 날개문학, 문학의 봄, 문학의 창, 순수문학, 서정문학, 열린문학, 창조문학, 자유문예, 한비문학, 한세문학, 한올문학, 문학21
* 기준
예산 재정도 / 내용 충실도 / 작품 수준 / 문학상 시행 여부 / 디자인 / 종이 질 / 홈페이지 / 필자 / 원고료 수준 / 등단장사 여부 / 신인상 상금 금액 / 세련도 / 서점유통도 / 단체, 출판사 권위 / 평판 / 전통(역사) 등
S - 말 할필요도 없는 최강 여기로 등단하면 탄탄대로. 돈 주고 사서봐도 하나도 안 아까운 것들.
A - 좋은 곳들.
B - 무난한 곳들...이라지만 내 생각엔 여기가 마지노선이 아닐까 싶네.
C- 이하는 걍 듣보
그러나 문겔러 새끼들은 D나 F에 보내도 탈락하겠지 ㅋㅋㅋㅋㅋ?
루이33세 등급도 등급이지만 경향이 더 중요할거 같네 2010.11.08 11:01
MyHOme 경향이 중요하다는 게 무슨 말임? 시대에 뒤떨어지냐 잘 부응하고 있냐 뭐 이런 거?|222.98.***.*** 2010.11.08 11:13
너무 너무 오래 전 거다. 몇 년 전부터 돌던 자료. 시와반시나 열린시학, 시시사 정도는 A급. 실천문학S, 작가세계A, 현대문학이랑 현대시는 위로 올려도 충분한데, 등단자를 너무 많이 뽑느다. D급부터는 거의 유통 안되는 문예지. 오래 전 자료라 폐간된 것도 꽤 있을 터. 아무튼 등단은 S, A. 빼고는 자제를. ㅎㅎ|211.116.***.*** 2010.11.08 12:52
MyHOme 혹시 최근 버젼도 있냐|222.98.***.*** 2010.11.08 12:56
MyHOme 그리고 궁금한데 B랑 C~이런 걸로 등단하면 어떻게 되냐? 걍 개듣보 되고 돈만 뜯기는거?|222.98.***.*** 2010.11.08 13:01
너무 등단하려면 이 정도? 창작과비평, 문학동네, 문학과 사회, 현대문학, 현대시, 작가세계, 세계의 문학, 문예중앙, 실천문학. 문학과사회, 현대문학, 현대시 쪽이 잘 미뤄주긴 하더라. 등단 후 청탁도 열심히 들어오고. 행사도 불러주고. ㅎㅎ 대부분이 그래. 근데 창비는 등단해도 불러도 안준다. 독고다이다. ㅎㅎ 제 새끼들은 가혹하게 키우더라. 그렇다고 미뤄준다는 게 다 좋은 건 아니고. 여튼, 요즘은 어디서 등단해도 제가 하기 나름이지. 작품만 좋다면야 다 자기 살 길 찾는다. 문제는 기성작가들과 평론가들이 얼마나 공부를 하느냐에 따른 것이지. 중요 문ㅇ|211.116.***.*** 2010.11.08 13:06
너무 중요 문예지만 읽고 평론 쓰는 평론가들, 친분에 의해 평론 써주는 평론가들 너무 많다. 청탁도 그런 식으로 오고가는 경우도 많고. 그럼에도 좋은 작품은 평가 받는다. ㅎㅎ 지방지까지 훑어보며 공부하는 평론가들, 작가 시인들 많거든.|211.116.***.*** 2010.11.08 13:08
너무 저 위에 실수. 문학과사회, 현대문학, 현대시 쪽이 잘 미뤄준긴 하더라.. 이거임. 마침표 잘 봐. ㅎㅎ|211.116.***.*** 2010.11.08 13:09
MyHOme 그렇구나 너 잘 아네. 이쪽 관계자인가.. 아님 등단한 사람인가|222.98.***.*** 2010.11.08 13:13
너무 돈 뜯기는 곳은 어딘지 확실히 몰라. 근데 유심, 열린시학, 내일을 여는 작가, 시를 사랑하는 사람들, 작가들, 시에 등에서 등단하고 열심히 활동하는 작가들 많다. 지면에 실리는 작가들이 '조금' 비양호할 뿐이지. 시사사 같은 경우는 지면에 실리는 작가들도 좋아. 문제는 등단자를 너무 많이 뽑는다는 거야. ㅎㅎ|211.116.***.*** 2010.11.08 13:14
댓글돌이 댓글 10개 돌파!!
너무 궁금한 거 물어봐. 가끔 와서 눈팅하고 그러거든. 내 말이 꼭 정답은 아니야.|211.116.***.*** 2010.11.08 13:15
MyHOme 근데 밀어주는 거 아냐 미뤄 주는 게 아니라|222.98.***.*** 2010.11.08 13:17
너무 나 문법 및 맞춤법 취약해. 너무 따지지 말자. ㅎㅎㅎ 잡지 등단은 정말 잘 생각해야 해. 잘 뽑히면 귀한 새끼 대접 받는 거구. 그렇지 못하면 재등단도 불사해야 하니까.|211.116.***.*** 2010.11.08 13:19
너무 문예지 상태를 보는 가장 좋은 방법이 두 개가 있어. 첫째는 편집위원들의 이름. 둘째는 수록작가,시인들의 이름. 한 개를 더 뽑자면 신인상의 심사위원들의 이름. 월간문학이라는 데는 문인협회 입김이 강한 곳 같은데? ㅎㅎ 솔직히 나도 잘 모르겠다.|211.116.***.*** 2010.11.08 13:22
MyHOme 그렇구나... 문협.. 이름은 많이 들어봤는데... 근데 신문으로 등단하면 어떻게 되는 거야? 밀어주는 곳이 제대로 없을 거 같은데.. 걍 제 갈길 가는 건가|222.98.***.*** 2010.11.08 13:23
너무 신춘문예(중앙지)로 등단하면 1년 동안은 청탁 많이 들어올 거야. 거기서 진가를 발휘해야지. 그리고 심사위원들이 여러 잡지의 편집위원으로 활동하고 있거나 영향력 있으면 청탁 주기도 해. 신춘문예가 화려하기는 하지. 젊은 시인들은 이리저리 행사에 많이 불려다닌다. 불쌍하기까지도 해. 막 등단하고 나서 얼굴 비추고, 술 따라주고. 뭐. 그렇지 않는 사람도 많지만... 내가 느낀 건, 그거야. 등단 후 작품 좋으면 장땡이다. ㅎㅎ 평론가들 입에 오르내리든, 버려지든. 현역시인들은 좋은 작품 신인들 좋아하거든..|211.116.***.*** 2010.11.08 13:27
너무 소설 쪽이 더 개방적이다. 실력 좋은 신인들에게. 김애란 봐봐. 지금 보다 훨씬 어린나이에도 제 살길 찾았잖아. 좋은 작품 많이 써. 그러면 된 거야. 등단도 곧이고. 예심평에 오르락내리락 하는 순간부터 더 미쳐버리겠지. 그렇다고 듣보잡에는 보내지마. 내가 후배들에게는 일단 지방지라도 내! 라고 말하지만. 실력만 된다면야 좋은 문예지, 중앙지만 노려봐도 괜찮지. 열심히 쓰면 장땡, 작품 좋으면 장땡인게 문단이야.|211.116.***.*** 2010.11.08 13:39
MyHOme 그렇구나 B급 문예지정도까진 보내보려고 했거든... 좋은 문예지 (가량 탑5라든가..)는 가능성도 낮고 경쟁률도 너무 높아보여서.|222.98.***.*** 2010.11.08 13:42
MyHOme 참고로 B급이라는 건 위의 표 기준|222.98.***.*** 2010.11.08 13:42
ㅂㅂ 이 글이랑 댓글 참 소중한 정보다. 많은 문갤러들이 볼 수 있게 지우지는 말자
등단포기 이유. 댓글까지 퍼옴.